1. 이번 자녀의 해외연수에 대한 조사는 누구를 대상으로 또 어떤 방법으로 조사하였나요? - 8월 14일부터 8월 18일까지 총 5일간 전국에 거주하는 자녀를 둔 30~40대의 기혼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습니다. 조사방법은 이메일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입니다.
2.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습니까? - 전체 응답자 중 21.0%의 응답자가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. - 지역별로 보면, ‘서울’지역은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다는 응답이 33.3%로 조사되어 타 지역에 비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
3. 그렇다면 해외연수를 다녀 온 적이 있는 자녀의 연령대와 연수기간은 어떻게 조사되었나요? -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 중, 해외연수를 다녀온 자녀의 연령대가 ‘초등학생 고학년’이라는 응답이 32.4%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‘초등학생 저학년’이 22.9%, ‘초등학교 취학 전’이라는 응답도 17.1%로 조사되었습니다. ‘중학생’은 13.3%, ‘대학생’은 9.5%로 나타난 것에 비해 학업이 중요한 시기인 ‘고등학생’은 4.8%로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. - 해외 연수를 다녀온 기간은 ‘1개월에서 3개월’ 사이라는 응답이 47.6%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 다음으로는 ‘1개월 미만’이라는 응답과 ‘6개월에서 1년 미만’이라는 응답이 각각 21.9%, 13.3%로 조사되었습니다. - 대학생의 경우 6개월 이상의 연수기간을 갖는 경우가 50.0%에 달하는 반면 초등학생, 중, 고등학생들은 ‘1개월에서 3개월 미만’인 경우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
4.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이유는 무엇이라고 조사되었나요? (중복) -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 들은 ‘외국어를 배우기 위해서’를 57.1%로 가장 우선으로 꼽았습니다. 그 다음으로는 ‘외국생활 경험을 쌓기 위해서’, ‘부모나 친지가 외국에 체류하고 있어서’로 조사되었습니다.
5. 해외연수에 드는 비용은 한 달에 평균 어느 정도 입니까? - 해외연수에 드는 비용이 한 달 평균 100만원에서 300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48.6%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 다음으로는 300만원에서 500만원 사이라는 응답이 27.6%로 나타났습니다. - 이러한 한 달 평균 연수비용을 월평균 가구 소득과 비교하였을 때, 월 평균 가구 소득의 50%미만이라는 응답이 46.7%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그 다음으로는 50%에서 100%로 미만이라는 응답이 39.0%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가구 소득 이상이라는 응답도 14.3%로 조사되었습니다.
6. 그렇다면 자녀들을 해외연수에 보낸 부모들은 자녀의 해외연수 효과에 얼마나 만족하고 있습니까? -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 중 10명에 6명 정도는 자녀의 해외 연수 효과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반면 불만족 한다는 응답은 6.7%로 나타나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- 만족한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의 만족 이유를 보면 ‘외국생활로 경험이 넓어져서’라는 응답이 63.8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외국어 실력이 늘어서라는 응답은 23.8%로 조사되었습니다. - 반면 불만족 한다고 응답한 응답자들은 불만의 이유로는 ‘연수비용이 부담스러워서’가 52.4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‘외국어 실력이 기대만큼 늘지 않아서’라는 응답이 38.1%로 조사되었습니다. - 연수기간별로 보면 연수기간이 1년 이상이었을 경우 만족한다는 응답이 87.5%로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.
7.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경우는 앞으로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낼 계획이 있습니까? -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응답자 중, 앞으로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낼 계획이 있는 응답자는 49.9%로 절반 정도로 조사되었습니다. ‘모르겠다’고 응답한 경우는 38.5%로 나타난 반면 계획이 ‘없다’라고 응답한 경우는 단11.6%에 그쳐 많은 응답자들이 향후 자녀를 해외연수에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. - 연수를 보내고자 계획한 시기는 자녀가 대학생일 때가 31.0%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초등학생 고학년일 때, 중학생일 때가 각각 24.9%, 22.8%로 나타났습니다. [조사개요] - Sample size : 30대에서 40대의 성인남녀 500명 - 조사방법 : 이메일을 이용한 온라인 조사 - 표본오차 : 95%신뢰수준 ±4.40